본문 바로가기

아내의 일상 일기 /교육학, 유아교육학

교육학개론 - 교육의 역사

1.    교육에 대한 역사와 철학적 접근 교육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며 특정한 문화 속에서의 삶의 경험각 시대나 각 문화마다 교육의 모든 내용과 방법은 그 시대의 문화 나름대로의 철학적 기반 위에서 전개됨.

 

 

2 한국교육의 발달

1)    고대의 교육

(1)  삼국이전의 교육

고조선 교육에 대해 고증할만한 문헌이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나 ‘8조 법금존재

(2)  삼국시대의 교육

-      원시국가의 형태를 벗어나 국가적 체제를 갖추게 됨 (정복적, 군사적 성격)

-      국가가 주도하는 학교교육이 시작된 시기

고구려 : 귀족자제 교육기관인 대학에 해당하는 태학설립 (국가가 주도한 최초의 교육기관)

백제 :박사를 둠. 박사는 유학경전에 능통한 학자로서 고등교육 소임을 맡은 관직

신라 : 체계적인 인재양성,인물본위 교육제도 화랑도 / 학벌 본위, 실력본위 교육제도 국학

 

 

2)    고려시대의 교육

-      광종(과거제도) , 성종(국자감:관리양성) , 공민왕(성균관), 향교(지방에 설립된 관학으로서 중등교육기관), 학당(고려후기 등장한 중등교육기관)

 

3)    조선시대의 교육

(1)  조선전기의 교육

성리학의 궁극적 교육목적은 성인군자가 되는 것, 조선시대 교육제도는 과거제도를 위한 것

최고학부 (성균관) 중등교육기관에 해당하는 (사학과 향교, 서원) 초등교육을 담당한 (서당)

국립 중등교육기관 (사학) , 지방 16세 이상 양반자제를 위한 국립 중등교육기관 (향교)

민간중심의 중등교육기관 (서원) , 민간중심 초등교육기관 (서당)

이 시기 교육사상가 : 권근, 조식, 이황

 

(2)  조선 후기의 교육

성리학은 지나치게 공리공론에 치우치고 권위주의를 옹호하는 등의 부작용

당시 도입 된 고증학과 서학은 실학사상의 탄생에 영향을 미침

이 시기 교육사상가 : 이익, 유형원,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정약용

 

4)    개화기와 일제강점기의 교육

 

(1)  개화기의 교육

최초의 근대사학 (배제학당, 이화학당), 근대식 관립학교로 귀족자제 대상 (육영공원)

(2)   일제강점기 교육 – 1941년 초등교육기관을 국민학교로 개칭

 

 

5)    해방 이후의 교육

일제의 구 체제에서 탈피하고 민주사회건설에 부합된 교육의 새로운 방향과 제도를 모색하기 위한

1. 교육에 대한 역사와 철학적 접근 교육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며 ‘특정한 문화 속에서의 삶의 경험’ 각 시대나 각 문화마다 교육의 모든 내용과 방법은 그 시대의 문화 나름대로의 철학적 기반 위에서 전개됨.

 

 

 

 

 

2 한국교육의 발달

 

1) 고대의 교육

 

(1) 삼국이전의 교육

 

고조선 – 교육에 대해 고증할만한 문헌이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나 ‘8조 법금’ 존재

 

(2) 삼국시대의 교육

 

- 원시국가의 형태를 벗어나 국가적 체제를 갖추게 됨 (정복적, 군사적 성격)

 

- 국가가 주도하는 학교교육이 시작된 시기

 

고구려 : 귀족자제 교육기관인 대학에 해당하는 태학설립 (국가가 주도한 최초의 교육기관)

 

백제 : ‘박사’를 둠. 박사는 유학경전에 능통한 학자로서 고등교육 소임을 맡은 관직

 

신라 : 체계적인 인재양성,인물본위 교육제도 화랑도 / 학벌 본위, 실력본위 교육제도 국학

 

 

 

 

 

2) 고려시대의 교육

 

- 광종(과거제도) , 성종(국자감:관리양성) , 공민왕(성균관), 향교(지방에 설립된 관학으로서 중등교육기관), 학당(고려후기 등장한 중등교육기관)

 

 

 

3) 조선시대의 교육

 

(1) 조선전기의 교육

 

성리학의 궁극적 교육목적은 성인군자가 되는 것, 조선시대 교육제도는 과거제도를 위한 것

 

최고학부 (성균관) 중등교육기관에 해당하는 (사학과 향교, 서원) 초등교육을 담당한 (서당)

 

국립 중등교육기관 (사학) , 지방 16세 이상 양반자제를 위한 국립 중등교육기관 (향교)

 

민간중심의 중등교육기관 (서원) , 민간중심 초등교육기관 (서당)

 

이 시기 교육사상가 : 권근, 조식, 이황

 

 

 

(2) 조선 후기의 교육

 

성리학은 지나치게 공리공론에 치우치고 권위주의를 옹호하는 등의 부작용

 

당시 도입 된 고증학과 서학은 실학사상의 탄생에 영향을 미침

 

이 시기 교육사상가 : 이익, 유형원,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정약용

 

 

 

4) 개화기와 일제강점기의 교육

 

 

 

(1) 개화기의 교육

 

최초의 근대사학 (배제학당, 이화학당), 근대식 관립학교로 귀족자제 대상 (육영공원)

 

(2) 일제강점기 교육 – 1941년 초등교육기관을 국민학교로 개칭

 

 

 

 

 

5) 해방 이후의 교육 –

 

일제의 구 체제에서 탈피하고 민주사회건설에 부합된 교육의 새로운 방향과 제도를 모색하기 위한 한국 교육위원회

문민정부가 들어서면서 학습자중심의 교육, 자율성과 책무성의 강조, 학생의 개성과 창의성을 존중하는 교육의 다양화 및 교육의 정보화 추진 등을 주요골자로 하는 교육개혁안이 발표

 

 

 

2.    서양교육의 발달

 

 

1)    고대의 교육

(1)  그리스 교육

아테네 교육목적 : 신체적, 지적, 미적으로 조화로운 선하고 아름다운 인간상을 가진 시민을 양성 , 풍부한 무화예술적 환경을 제공, 유희의 중요성을 강조, 조화로운 인상성을 교육의 목표로 함. 실제적인 기술은 귀족사회의 자유인에게는 필요치 않다는 입장. 그래서 학교를 스콜레(한가하다)는 뜻.

학교 공공체조학교 (팔레스트라) 사설 음악학원 (디다스칼리움) 16세까지 체력과 교양을 쌓은 후 소피스트라는 직업을 찾아 전문적인 교육 (따라서 서민층의 자제들은 거의 교육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그리스 대표적 사상가 :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2)  로마교육

공화적 시대교육 (로마전기)실용적이고 애국적, 실천적인 인간상의 로마인 기르기

애국, 근면, 용감을 강조하고 엄한 아버지에 의한 가정교육의 의미

국립교육기관이나 공립학교가 없었고 상류층에서는 가정교사를 초빙하거나 개인이 운영하는 사설교육기관으로 보내짐.사회적 요청이 늘어남 최초의 사립학교이자 초등교육기관인(루두스)

제정시대 교육(로마 후기)

그리스문화 도입으로 가정중심의 교육형태는 점차 사러져가고 문화적 전성기.

로마교육의 특색이 사라지면서 도서관 설립이 활발히 진행

초등교육기관 루두스, 중등교육기관 문법학교, 고등교육기관인 수사학교등의 각종 교육기관 발달

 

 

2)    중세의 교육

-      스콜라 철학 : 그리스도교 신학을 집대성하여 만들어짐

-      고급문답교육 신학, 철학, 수사학, 천문학, 문학, 역사학

-      고등교육은 본산학교나 수도원학교에 의존 > 학생중심의 길드 형성

 

 

 

3)    근대의 교육

(1)  르네상스와 종교개혁기의 교육

-르네상스의 근본사상은 인문주의 > 종교개혁에 영향

(2) 17세가 실학주의 교육

1. 인문적 실학주의 2. 사회적 실학주의 3. 감각적 실학주의

(3) 18세기 계몽기의 교육

(4) 19세기 교육

-합리주의와 계몽주의

-신인문주의 (이성만을 강조해 편향된 인간을 길러냈다는 비판)

(4) 20세기 현대의 교육철학  

-진보주의,본질주의,항존주의, 재건주의

-포스트모너니즘